풍수지리/작명/택일/궁합

효도 문화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조회455회 작성일 21-10-09 22:27

본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효봉역학연구원 입니다. 

오늘은 효도문화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져합니다

효는 한국사회를 지탱해온 정신윤리이자 행동 윤리인 유교사상과 그리고 유교의 규범이 축약된 한국의 효사상으로 우리 사회를 만들어낸 대한민국 역사에서 과연 한국사회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한번 깊이 생각해볼 문제인 것 같습니다.

효가 사회적으로 확산 된다면 밝은 문화생활은 물론이고 질적인 인간생활 문제까지도 안전하게 담보될 수 있는 것이므로 효가 우리사회를 지탱해 주는 핵심가치인것입니다.

효를 행한다는 것은 단순한 세속규범이 아니라 엄숙한 종교적 명령이며 효의 본질은 부모를

포함한 나의 조상을 기억하고 재현하는데 있으며 이것이 윤리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 합니다.

제사를 통해 조상의 은덕을 기억하면서 내 존재를 인식하고 자식을 잘 키워 자기를 기억하게 함으로서 영속적으로 이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바로 효 사상인 것입니다.

조상 앞에 제사 지내는 것을 허례허식 이라고 비판 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 사람이 있다면 잘못된 인생관을 가지고 세상을 사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이유인즉 조상부모가 계시지 않았다고 하면

자신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엇겠는가?

깊이 성찰해 봐야 할 대목입니다.

오늘날고령화 시대에 노인 인구는 날로 증가 하고 있으며 효행은 백행지 근본이란 말이 있는데 다시 말하면 효도는 백가지 행동의 근본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이 말을 효는 만 가지 복이 들어오는 근원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님께 효도를 극진한 마음으로 잘하면 백가지의 복이 들어와서 본인은 물론 자손들에게도 좋은 결과가 만들어 진다는 것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음력715일에 백중이라 하여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 놓고 제사를 지내 왔는데 동양에서는 아름다운 미풍양속으로 조상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효 사상이 생활의 뿌리를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라는 글자를 보면 형성문자 (形聲文字)로서 노인의 의미와 아들 자() 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한문글자의 형상을 보면 효자는 아들이 부모님을 어깨 위에 올려놓고 모시고 있는 모습처럼 되어 있습니다.

사람으로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큰 덕목입니다.

공자와 맹자는 효는 윤리 도덕적 의무로서 부모에 대한 물질적인 봉양보다 공손한 정신적 자세가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 나라 시대에 효경에서 효에 대한 사상을 정리 하였는데 효만을 덕의 근본으로 강조 하였으며 모든 덕행은 궁극적으로 효를 위한 것이라고 말 하였습니다.

한국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문화가 들어오면서 유교적인 효 사상이 알려진 상태에서 6세기경에 신라의 승려 원광법사가 제시한 세속오계 계율 가운데 두 번째 사친이효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무슨 뜻인가 하면 효도로써 어버이를 섬긴다는 말입니다.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덕적 의무를 효라는 개념으로 삼게 되었습니다.

효 사상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시대적 상황에서 살펴보면 효라는 덕목은 점점 퇴색되어 가는 느낌이 들어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각 개인이 의지해야 할 윤리적 준거조차 없어져 갈피를 잡지 못하여 방황하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서구적 문화와 가치관이 현 시대를 지배 하면서 효는 봉건적인 낡은 가치관의 유물인것처럼 퇴색되어가는 것이 오늘의 효의 현주소입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손자로 이어지는 수직선상의 이동은 결코 소멸시킬 수 없는 숙명이며 그 관계는 부부 중심의 수평화의 질서보다 원초적이라 할 수 있으며 하물며 부모가 자식을 귀챦게 생각하여 방치해 버리며 자식이 노약한 부모를 봉양하지 않고 미워한다면 그러한 행동은 인륜관계의 유기이며 사회적 평화의 파괴행위가 틀림없는 것입니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효도는 떳떳하고 옳은 사람이 행해야 할 가장 큰 덕목입니다.

효의 근본은 옛날과 오늘이 다를 수 없고 동과서가 다를 수 없습니다.

국가와 사회를 지탱해 주는 근본이 바로 효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여기까지 말씀드리고

다음시간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다시 만날 것을 약속드리며

끝까지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로그인

사이트 정보



효봉역학연구원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해돋이로23 풀리페아파트 106동 1003호 TE: : 051-264-4666 H.P : 010-2664-3435 E-M : saju7942@naver.com

Copyright © 효봉역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